사회학 박사이자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해 부국장까지 지낸 언론인이자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교수로서 초지일관 ‘민주주의’와 ‘남북문제’에 대해 천착해온 고승우 박사가 2018년 《월간문학》 소설부분 신인상을 수상하며 늦깍이 작가로 정식 데뷔하여 《실천문학》에서 장편소설 『4천 3백여 년 만의 외출』을 출간했다. 역시 이 장편소설도 작가가 초지일관 천착해온 ‘남북문제’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미 80년대에 장편소설 ‘그날'을 발간했듯 작가는 언론인이자 교수이자 칼럼리스트였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문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작가는 그의 평생의 관심사이자 연구 과제였던 ‘남북문제’를 소설가의 특권을 이용하여 언론인으로서 한계를 벗어버리고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쳐 우주의 끝까지 무한히 활공해 나간다. 4천 3백여 년 전에 하늘에서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온 환웅에게 사람이 되고자 소원하였으나 웅녀와 달리 인간으로 우화하지 못한 호랑이를 ‘호낭자’라는 이름으로 등장시켜 한반도 통일 문제를 판타지 형식을 빌려 소설화했다. 한반도 분단이 장기화되고 남북간의 대치 속에 북한의 핵개발과 이산의 당사자들이 줄어가면서 동족의식이 조금씩 퇴색해가는 등으로 평화통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자꾸 혼란스러워지는 현 상황에서 이 소설은 한반도와 관련된 영적 인물이나 영혼 등을 등장시켜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이나 한반도 대치의 실상, 그리고 강대국의 문제 등을 남북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시선이 아닌 중립적 시선으로 잘 그려내고 있는 수작으로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사회학 박사이자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해 부국장까지 지낸 언론인이자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교수로서 초지일관 ‘민주주의’와 ‘남북문제’에 대해 천착해온 고승우 박사가 2018년 《월간문학》 소설부분 신인상을 수상하며 늦깍이 작가로 정식 데뷔하여 《실천문학》에서 장편소설 『4천 3백여 년 만의 외출』을 출간했다. 역시 이 장편소설도 작가가 초지일관 천착해온 ‘남북문제’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미 80년대에 장편소설 ‘그날'을 발간했듯 작가는 언론인이자 교수이자 칼럼리스트였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문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작가는 그의 평생의 관심사이자 연구 과제였던 ‘남북문제’를 소설가의 특권을 이용하여 언론인으로서 한계를 벗어버리고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쳐 우주의 끝까지 무한히 활공해 나간다. 4천 3백여 년 전에 하늘에서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온 환웅에게 사람이 되고자 소원하였으나 웅녀와 달리 인간으로 우화하지 못한 호랑이를 ‘호낭자’라는 이름으로 등장시켜 한반도 통일 문제를 판타지 형식을 빌려 소설화했다. 한반도 분단이 장기화되고 남북간의 대치 속에 북한의 핵개발과 이산의 당사자들이 줄어가면서 동족의식이 조금씩 퇴색해가는 등으로 평화통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자꾸 혼란스러워지는 현 상황에서 이 소설은 한반도와 관련된 영적 인물이나 영혼 등을 등장시켜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이나 한반도 대치의 실상, 그리고 강대국의 문제 등을 남북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시선이 아닌 중립적 시선으로 잘 그려내고 있는 수작으로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반도 통일에 대한 판타지 소설 고승우 장편소설 『4천 3백여 년 만의 외출』은 4천 3백여 년 전에 하늘에서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온 환웅에게 사람이 되고자 소원하였으나 웅녀와 달리 인간으로 우화하지 못한 호랑이를 ‘호낭자’라는 이름으로 등장시켜 한반도 통일 문제를 판타지 형식을 빌려 소설화한 작품이다. 한반도 분단이 장기화되고 남북간의 대치 속에 북한의 핵개발과 이산의 당사자들이 줄어가면서 동족의식이 조금씩 퇴색해가는 등으로 평화통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자꾸 혼란스러워지는 현 상황에서 이 소설은 한반도와 관련된 영적 인물이나 영혼 등을 등장시켜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이나 한반도 대치의 실상, 그리고 강대국의 문제 등을 남북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시선이 아닌 중립적 시선으로 잘 그려내고 있는 수작이다. -편집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1 호 낭자 지구별로 가다 007 2 남북 군사분계선을 가다 047 3 전쟁과 평화 082 4 남북 영혼과 인간 131 5 분단 지옥에 가다 178 6 신선들과의 대화 198 7 남북 친일파 귀신들 269 8 다시 침묵 속으로 287 작가의 말 303
전북 군산 옥구군에서 태어나 고려대 축산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 후반 장편소설을 출간해 소설에 관심을 가진 뒤 2018년 《월간문학》 소설부분 신인상을 수상한 뒤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합동통신에서 기자생활을 시작한 뒤 광주항쟁 당시 언론민주화투쟁으로 불법해직되어 한겨레신문 창간과정에 동참했다. 한성대 겸임교수, 고려대 세종분교, 서울시립대 등에서 14년간 강의하고 2024년 현재 한반도, 언론문제 등에 대한 칼럼을 쓰고 있다.혼자 펴낸 책: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TV 리터러시(2009년 12월 커뮤니케이션북스),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미디어 교육 / 지성인을 위한 미디어 교육(2007년 5월 형지사), 한겨레창간과 언론민주화(2004년 12월, 나남), TV와 인터넷에서 우리 아이 지키기(2002년 10월, 북스토리), 분단을 넘어 통일을 향해(1999년 8월, 살림터), 언론유감(1998년 8월, 살림터: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선정), 논리로 떠나는 통일여행(1995년 8월, 이가책), 반핵과 미술(1989년 8월, 춘추원), 5·6공 언론비판서(1990년 9월, 춘추원).공저: 세상의 절반을 이해하는 법(2012년 8월 라이프맵), 시 치료(청목, 2005년 6월), 핵과 한반도(1985년 5월, 아침), 반 핵(창비, 1988년 8월)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