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미래구상프로젝트

게시판

미래구상프로젝트

게시판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C공감으로 보내기 rss
조회 660
글자 크게 하기 글자 작게 하기 프린트
제목 문화예술인 602인 범야권단일후보 한명숙 지지선언 전문
이름 전쟁반대



“껍데기문화는 가라, 이제는 사람문화다”
문화예술인 602인 범야권단일후보 한명숙 지지선언 전문

디자인 서울, 한강르네상스, 하이 서울 페스티벌. 이명박·오세훈 시장 8년의 문화정책은 이렇게 요약됩니다. 서울시의 빚이 6조원에서 18조원으로 불어나는 이 기간 동안 고가도로는 포장되었고 포장된 길 아래는 아무도 보지 않는 분수가 생겨났습니다. 포장되기 전이나 후나 그곳은 여전히 집 없이 거리를 배회하는 사람들의 잠자리입니다.

서울은 이렇게 디자인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사는 이곳은 사람의 가치가 배제된 관상용 도시로 디자인되었습니다.

뉴타운 사업은 세입자는 물론 집주인마저 자기 집을 떠나도록 만들었습니다. 가짜 생태 하천에는 물고기들이 모여들었습니다. 물길이 아니라 트럭을 타고 고속도로를 달려 청계천으로 몰려왔습니다. 자연, 인간의 삶터, 문화예술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개발 중심의 행정은 용산에서 종로에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자리를 내어 놓으라 강요하고 있습니다.

한명숙 후보는 서울을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 “사람특별시로 만들겠다”고 선포 하였습니다. 이에 우리 문화예술인들은 뜻을 모아 한명숙 후보의 서울 시장 당선을 지지합니다.

문화예술인들은 한명숙 후보와 ‘문화예술정책 공동약속’을 체결하였습니다. 그 내용은

첫째, 창의성교육을 통해 시민의 문화기본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이 약속은 어린이, 청소년, 사회 취약 계층의 사회문화예술교육 등을 확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합니다.

둘째, 동네마다 문화사랑방을 운영하여 작은 도서관, 미디어센터, 복합문화예술공간 등으로 이용하기로 약속하였습니다. 여기에 문화예술 인력을 배치하는 것은 생활복지 일자리 10만 개 창출 공약의 일환입니다.

셋째. 서울시 전역을 문화특구로 조성하여 현재 특정 지역 중심으로 짜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서울시 전역으로 분산 배치하기로 약속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하이 서울 페스티벌도 각 자치구별로 특성화된 축제로 변모될 것입니다.

넷째, 창작자 중심의 문화콘텐츠사업을 육성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창조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노들섬 오페라하우스 같이 문화를 명분으로 내세운 토건사업을 재검토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멍박 정권 2년 반 동안 공영방송의 공공성이 훼손당하여 갖가지 여론조작과 정보차단으로 민주 선거의 공정성마저 위태롭게 되었습니다. 노무현 추모 열기를 차단하려 천안함 사건으로 국가 위기를 조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전쟁 위협의 결과 주가가 폭락하고 국가 신인도가 떨어졌습니다. 위기 극복을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은 국민이 낸 연금입니다. 남북 관계를 전쟁 일보 직전으로 치닫게 하고 있는 반평화 세력, 국가 위기를 선거에 이용하려는 반민주 세력에 우리는 단호하게 저항합니다.

우리의 저항은 투표로 이어질 것입니다. 우리의 한 표로서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6월2일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날은 남북 평화상생의 날이자, 생명 파괴 4대강 사업을 저지하는 날이자, 친환경 서민복지를 이룩하는 날이 될 것입니다.  

2010년 5월 28일

사람특별시 문화예술추진본부 한명숙 후보 지지선언자 명단(가나다순)  

강 민(문학) 강경석(연극) 강규영(연극) 강미화(문학) 강상기(문학) 강성봉(미술) 강성일(미술) 강수양(연극) 강신애(문학) 강영화(무용) 강영화(문학) 강영환(문학) 강용구(사진) 강원준(영화) 강윤경(문학) 강주호(연극) 강태형(문학) 강학수(연극) 강허달림 (대중음악) 강헌(대중음악) 고광민(연극) 고규미(연극) 고규태(문학) 고동업(연극) 고명철(문학) 고양순(연극) 고영서(문학) 고찬규(문학) 고희림(문학) 공광규(문학) 공선옥(문학) 공지영(문학) 곽대원(미술) 곽의진(문학) 권현(문학) 권대일(연극) 권미애(무용) 권석창(문학) 권성우(문학) 권영락(영화) 권영석(미술) 권영임(문학) 권오성(애니메이션) 권용주(미술) 권칠인(영화) 권태원(연극) 권해효(연극) 권현수(서양음악) 김  진(문학) 김강덕(애니메이션) 김경(문학) 김경란(연극) 김경범(연극,무용) 김광익(연극) 김교서(문학) 김규철(출판) 김기정(문화일반) 김기천(연극) 김기호(미술) 김기홍(문학) 김남수(풍물) 김남화(만화) 김녹촌(문학) 김대식(연극) 김대웅(연극) 김대호(문학) 김도근(미술) 김동승(문학) 김동환(문학) 김만중(연극) 김명곤(연극) 김명인(문학) 김명자(연극) 김명화(연극) 김문수(미술) 김미선(미술) 김민서(문학) 김백기(전위예술) 김병헌 (애니메이션) 김보성(연극) 김봉석(마임) 김상철(예술일반) 김서경(미술) 김서정(문학) 김석주(미술) 김선국(문화기획) 김선일(미술) 김선자(문학) 김성경(문학) 김성동(문학) 김성민(음악) 김성배(문학) 김성수(미술) 김성수(연극) 김성주(문학) 김성호(문학) 김성환(영화) 김소연(연극) 김수보(연극) 김수연(판소리) 김수진(연극) 김순남(문학) 김순란(문학) 김신명숙(문학) 김애경(문학) 김애영(연극,소리) 김여옥(문학) 김 영(영화) 김영경(무용) 김영근(문학) 김영만(연극) 김영옥(서예) 김영중(미술) 김영철(문화일반) 김영현(문학) 김영환(문학) 김영희(연극) 김옥희(연극) 김완하(문학) 김용민(미술) 김용범(풍물) 김용태(미술) 김운성(미술) 김원빈(연극) 김원주(미술) 김윤기(미술) 김윤미(미술) 김윤수(미술) 김윤환(문학) 김은영(문화일반) 김응교(문학) 김이은(문학) 김이정(문학) 김이하(문학) 김익선(문화기획) 김인숙(문학) 김인순(미술) 김인호(문학) 김자흔(문학) 김장욱(영화) 김재석(미술) 김재성(문학) 김재영(문학) 김재학(미술) 김재호(문학) 김재훈(문화기획) 김정란(문학) 김정미(무용) 김정섭(대중음악) 김정헌(미술) 김정화(문학) 김정환(문학) 김정환(연극) 김정희(문학) 김종도(미술) 김종렬(국악) 김종렬(문화일반) 김종선(문화일반) 김종철(문학) 김준태(문학) 김천일(미술) 김초혜(문학) 김태균(문화일반) 김태현(연극) 김하늘(문학) 김학민(문화일반) 김학영(서양음악) 김한수(문학) 김해자(문학) 김해화(문학) 김화숙(문학) 김현(연극) 김현수(연극) 김현숙(미술) 김현식(연극) 김현진(영화) 김형효(문학) 김형희(무용) 김혜련(연극) 김혜준(영화) 김혜진(국악) 김효사(문학) 나규환(미술) 나종희(미술) 나원식(미술) 나해철(문학) 나혜원(연극) 난나(미술) 남기성(연극) 남문철(연극) 남상순(문학) 남요원(문화일반) 노가원(문학) 노동우(연극) 노병갑(연극) 노승필(게임) 노혜경(문학) 도종환(문학) 두시영(미술) 류정석(풍물) 류정환(문학) 류호성(대중음악) 마승락(문화기획) 맹문재(문학) 문갑현(풍물) 문미정(연극) 문병두(미술) 문병옥(연극) 문창길(문학) 박철(문학) 박경원(문학) 박관서(문학) 박광배(문학) 박광수(연극) 박근영(출판) 박남준(문학) 박남희(문학) 박대순(문학) 박동주(미술) 박라연(문학) 박몽구(문학) 박미현(연극) 박민정(서양음악) 박배진(연극) 박상대(연극) 박상률(문학) 박선욱(문학) 박성민(문학) 박성우(문학) 박순홍(애니메이션) 박승민(문학) 박승현(연극) 박신영(미술) 박야일(미술) 박영남(연극) 박영숙(사진) 박옥희(문화기획) 박옥희(미술) 박용수(문학) 박원석(문학) 박은태(미술) 박응주(미술) 박인혜(연극) 박장근(미술) 박재동(만화) 박정곤(연극) 박정모(문학) 박정수(문학) 박정열(연극) 박정호(문화일반) 박종욱(연극) 박종화(게임) 박주석(사진) 박중재(문학) 박지혜(국악) 박진관(문학) 박진창아(문화기획) 박진화(미술) 박해전(문학) 박혜숙(연극) 박혜숙1(문화기획) 박혜숙2(문화기획) 박홍점(문학) 박흥순(문학) 박흥순(미술) 박흥식(미술) 박흥주(풍물) 박희정(풍물) 박희호(문학) 방남수(문학) 방은미(연극) 방현석(문학) 방현희(문학) 배경희(문학) 배성호(문학) 배정일(연극) 백미숙(연극) 백인영(국악) 백정숙(만화) 백정희(문학) 백중기(미술) 백진이(연극) 변우균(연극) 서미숙(연극) 서상규(연극) 서수경(미술) 서승현(문학) 서우식(영화) 서인애(서예) 서정오(미술) 서정원(문학) 서정홍(문학) 서현주(연극) 서희(문학) 석여공(문학) 성근제(연극) 성대복(연극) 성백엽(애니메이션) 성수석(연극) 손병희(연극) 손선영(문학) 손세실리아(문학) 손인구(연극) 손장섭(미술) 손준형(연극) 손태연(문학) 송광룡(문학) 송언(문학) 송영(문학) 송광룡(문학) 송안나(국악) 송우현(문화기획) 송원조(국악) 송은도(서예) 송은영(문학) 송인상(미술) 송제홍(문학) 송태성(연극) 송태웅(문학) 신규용(만화) 신동수(문화일반) 신왕선(문화일반) 신용목(문학) 신유아(미술) 신은숙(서예) 신은영(미술) 신중연(영화) 신지현(국악) 신진호(미술) 신현태(문화일반) 심규호(연극) 심정수(미술) 안덕훈(문학) 안도현(문학) 안성금(미술) 안성배(문화일반) 안이희옥(문학) 안재성(문학) 안종현(서양음악) 안종호(연극) 안찬모(연극) 안치운(문화기획) 안태경(대중음악) 안학수(문학) 안혜경(대중음악) 양문규(문학) 양은숙(무용) 양정순(연극) 양정자(문학) 양지원(무용) 양혜원(문학) 어연선(연극) 엄경환(연극) 엄희정(국악) 여태명(서예) 염무웅(문학) 염성순(미술) 오경은(출판) 오동진(영화) 오미옥(문학) 오석균(출판) 오세곤(연극) 오세란(무용) 오연실(연극) 오우열(문학) 오정요(방송인) 오종우(문학) 오지나(연극) 오태식(무용) 용환신(문학) 우신희(미술) 우애령(문학) 우위영(연극) 우종필(연극) 우창헌(미술) 원명희(문학) 원창연(연극) 원혁희(게임) 위종만(미술) 유대형(문학) 유명선(문학) 유순웅(연극) 유시연(문학) 유시춘(문학) 유연복(미술) 유영갑(문학) 유영길(연극) 유인렬(연극) 유인택(영화) 유재영(문학) 유종(문학) 유종인(문학) 유지나(영화) 유창수(연극) 유행종(게임) 유희석(문학) 육봉숙(국악) 윤기현(문학) 윤동수(문학) 윤민석(대중음악) 윤영선(사진) 윤일균(문학) 윤정모(문학) 윤희상(문학) 은미희(문학) 이적(문학) 이경철(문학) 이계영(연극) 이구영(미술) 이규석(문학) 이규호(문화일반) 이기순(문학) 이기진(서양음악) 이기택(문화일반) 이기형(문학) 이남희(문학) 이다빈(문학) 이덕행(영화) 이도윤(문학) 이도흠(문학) 이동환(미술) 이마리아(문화일반) 이말다(미술) 이명한(문학) 이미배(대중음악) 이바우(연극) 이병룡(문학) 이병훈(문학) 이봉환(문학) 이산하(문학) 이삼헌(무용) 이상명(풍물) 이상섭(문학) 이상운(문학) 이상현(게임) 이석규(연극) 이 선(문학) 이선조(미술) 이성관(문학) 이성배(서예) 이성완(미술) 이성은(국악) 이소리(문학) 이수(대중음악) 이수근(문화일반) 이수빈(문화일반) 이수원(문학) 이수행(문학) 이슬기(국악) 이승철1(문학) 이승철 2(문학) 이시영(문학) 이영미(평론) 이영욱(미술비평) 이영주(연극) 이영진(문학) 이영학(미술) 이용도(미술) 이용배(애니메이션) 이원경(음악) 이원구(문학) 이원규(문학) 이원석(미술) 이은봉(문학) 이은애(연극) 이은진(예술교육) 이인휘(문학) 이일선(문화일반) 이재무(문학) 이재웅(문학) 이 적(문학) 이정숙(문학) 이정열(대중음악) 이정우(서양음악) 이정자(국악) 이정호(애니메이션) 이정희(연극) 이종근(미술) 이종복(문학) 이종암(문학) 이종욱(문학) 이종한(문학) 이종헌(미술) 이종희(미술) 이주연(연극) 이주영(영화) 이준동(영화) 이지담(문학) 이지영(연극) 이창원(시인) 이철재(미술) 이한나(무용) 이현수(문학) 이혜경(연극) 이혜란(문화기획) 이혜란(연극) 이희권(대중음악) 이희상(미술) 이희재(만화) 이희진(연극) 인병선(문학) 임동확(문학) 임신화(국악) 임정희(연극) 임종철(문학) 임진택(연극) 임창웅(서예) 임태경(연극) 임헌영(문학) 임효림(문학) 장숙자(국악) 장순복(미술) 장순향(무용) 장순향(서양음악) 장은석(영화) 장은선(국악) 장이환(풍물) 장정임(문학) 장정임(문화기획) 장주식(문학) 장차현실(미술) 전승보(미술비평) 전안수(연극) 전영태(문학) 전재영(영화) 전정은(서양음악) 전종출(연극) 전희련(연극) 정 양(문학) 정광일(출판) 정기복(문학) 정남준(연극) 정동용(문학) 정동철(문학) 정미영(무용) 정민혁(연극) 정병각(영화) 정병길(국악) 정병호(문학) 정세학(미술) 정수리(문학) 정수석(연극) 정순영(무용평론) 정여진(영화) 정연도(연극) 정연수(문학) 정연홍(문학) 정영두(연극) )정영옥(문학)정용국(문학) 정원도(문학) 정윤경(연극) 정은숙(음악) 정인기(연극) 정정엽(미술) 정정희(연극) 정종연(문학) 정주미(무용) 정지영(영화) 정지욱(영화) 정지은(연극) 정지창(문학) 정진오(연극) 정화진(문학) 정희섭(연극) 정희성(문학) 정희일(문학) 조광희(영화) 조대현(문학) 조동길(문학) 조백기(연극) 조보환(미술) 조선희(문학) 조성용(서예) 조성원(연극) 조성호(서양음악) 조신호(미술) 조영랑(서예) 조영신(연극) 조용미(문학) 조용숙(문학) 조은영(연극) 조의자(연극) 조정인(문학) 조종원(연극) 조한기(연극) 조해룡(문학) 조현실(국악) 주재환(미술) 지현(대중음악) 지금종(연극) 지은숙(서예) 지정환(대중음악) 진길장(문학) 진영희(방송인) 차옥혜(문학) 차정미(문학) 채상근(문학) 채상우(문학) 채수정(서양음악) 최기종(문학) 최진(국악) 최광기(문화일반) 최상진(영상) 최상해(문학) 최석태(미술) 최승집(연극) 최인숙(문화기획) 최자웅(문학) 최재모(연극) 최재원(영화) 최정배(문화기획) 최준영(문학) 최현숙(연극) 최혜영(문학) 표성배(문학) 하성란(문학) 하아무(문학) 하창범(풍물) 한경수(미술) 한동규(연극) 한선현(미술) 한성례(문학) 한아름(영화) 한유진(미술) 한유진(연극) 한지원(연극) 현기영(문학) 현나미(문학) 홍선웅(미술) 홍수진(문화기획) 홍용희(문학) 홍은택(문학) 홍인기(문학) 홍인호(연극) 홍일선(문학) 홍현숙(미술) 황경선(국악) 황선철(문학) 황선화(무용) 황지우(문학) 황현산(문학)  




목록 글쓰기 수정 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99   걷게 되신 노친과 종종 외식도 즐깁니다 심오 2010.06.27. 901
698   좋은 시 감상 감태성 2010.06.26. 1030
697   문의 이민영 2010.06.25. 1066
696   저에게 홍삼을 주신 하느님, 감사합니다 심오 2010.06.24. 989
695   가기꾼을 아는 게 민작 2010.06.24. 754
694   우리교육 어린이책 작가상 작품을 공모합니다. 우리교육 2010.06.24. 922
693   그게 사실이라면 김동승 2010.06.22. 1735
692   다중지성의 정원 2010년 3분학기 6월 28일 개강합니다! 다지원 2010.06.19. 925
691   국악장단 속에서 강을 생각하다 심오 2010.06.18. 1231
690   한꺼번에 세 가지 고마움을 안겨준 아이 심오 2010.06.15. 1131
689   청소년 문예지 /'/푸른작가/'/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문청 2010.06.14. 1119
688   강마을에 사는 겻들 김광원 2010.06.12. 1174
687   전교조 선생님들과 어울린 이틀의 시간 심오 2010.06.10. 995
686   <내 인생의 책 한 권 쓰기> 7월 1일 개강! 다중지성의정 2010.06.09. 1034
685   신규 회원 가입신청하기에서 유영호 2010.06.08. 1102



[이전 10개]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120 / [다음 10개]

 

후원 우리은행 1005-802-113278 (사)한국작가회의

(03959) 서울 마포구 망원로3길 48, 2층 (사)한국작가회의 _ 전화 02-313-1486~7 / 전송 02-2676-1488
이메일 hanjak1118@hanmail.net(사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