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미래구상프로젝트

게시판

미래구상프로젝트

게시판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C공감으로 보내기 rss
조회 889
글자 크게 하기 글자 작게 하기 프린트
제목 문화외교포럼 행사 알립니다
이름 박신의 이메일



“문화예술을 통한 21세기 문화외교의 새로운 지평”포럼 및 워크숍

I. 포럼 및 워크숍 개요

1. 포럼 및 워크숍 명
- “문화예술을 통한 21세기 문화외교의 새로운 지평”

2. 일시 및 장소

1) 포럼
- 일시 : 2008. 11. 14(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

2) 전문가 워크숍
- 일시 : 2008. 11. 15(토), 오후 2시 - 오후 6시
- 장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3. 공동주최
- 외교통상부,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II. 포럼 기획의도 및 목적

- 21세기에 들어 더욱더 팽창되는 세계화의 현실은 문화 영역에도 예외가 아니다. 국가 및 지역 간 상호교류의 증대와 더불어 문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의 쟁점이 점차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 그 가운데 문화예술을 통한 외교활동이라 할 ‘문화외교’는 외교 활동에서 새로운 국면을 보이고 있다. 가깝게는 뉴욕 필 하모니의 평양 공연에서 보듯, 국가간 관계 개선 및 상호 이해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치외교적 사안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인식의 수준을 높여주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 하지만 현실은 국제문화예술교류를 위한 기반과 정책이 취약하고, 또 문화외교에 대한 전격적인 정책과 사업적 성과도 분산되어 있는 수준이다. 또 국제교류와 문화외교의 개념 정립과 그것의 상호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와 논의도 미흡한 가운데, 본격적인 논의와 함께 관련 기구간 협력과 네트워킹 등의 요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 이러한 배경을 두고 이번 포럼은 국제문화예술교류와 예술을 통한 문화외교의 쟁점을 전면에 내세워 추후 문화외교의 새로운 방향과 정책, 사업 등의 요소 등을 끌어내고자 한다.

III. 프로그램

1. 포럼(2008. 11. 14)
1) 오전 세션(10:00-12:00) : ‘문화외교의 역사와 전개’
사회: 박은실(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교수)

- 인사말 : 외교통상부

- 기조발제 : 21세기 문화외교의 새로운 지평과 전망
/ 김문환(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

- 발제 1: 세계와 소통하는 문화외교
/ 배재현(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장)

- 발제 2 : 동아시아의 문화외교 정책의 역사와 쟁점
/ 조부근(출판진흥재단 사무총장)

- 발제 3 : 프랑스 문화외교 정책의 역사와 쟁점 : l/'/AFAA에서 Culturesfrance까지
/ 이상빈(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교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수석편집위원)

2) 오후 세션 1부(13:30-15:45) : ‘문화예술교류와 예술을 통한 문화외교의 현장’
사회: 김동언(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교수)

- 발제 4 : 아시아 지역권 공연예술교류의 현재와 전망
/ 최석규(춘천마임축제 부감독)

- 발제 5 : 문화예술을 통한 국가 이미지 고양과 문화외교
/ 장광열(한국춤정책연구소 소장)

- 발제 6 : 예술가 해외 거주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교류의 쟁점
/ 유진상(계원예술대학교 교수)

- 발제 7 : 공연예술의 해외 진출을 위한 국제기구 협력 모델
/ 우연(예술경영지원센터 국제교류팀장)

- 발제 8 : 한국 주재 해외문화원의 문화외교 활동 및 성과-독일문화원을 중심으로
/ 맹완호(독일문화원 문화담당)

3) 오후 세션 2부(16:00-18:00) : ‘예술을 통한 문화외교의 정책적 접근’
사회: 이철순(예술의 전당 예술기획팀장)

- 발제 9 : 유럽문화수도의 문화외교적 분석을 통한 아시아문화수도의 전망
/ 정정숙(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 발제 10 : 해외 주재 한국문화원의 새로운 역할과 협력방안
/ 홍기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 발제 11 : 한국 예술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통한 문화외교 전략
/ 박신의(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 발제 12 : 국제문화예술교류 관련 기관 네트워킹 방안
/ 허권(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정책사업본부장)

4) 종합토론
사회: 정재왈(전 서울예술단 이사장)
- 발제자 전원 참석

2. 전문가 워크숍(2008. 11. 15)
사회 : 박신의(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회장, 경희대 교수)

14:00-14:15 회장 인사말 및 참여자 소개
14:15-15:45 민간단체의 국제예술교류 활동과 쟁점
난장 컬쳐스, 아시아나우,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베트남을 이해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모임, 대안공간 루프
15:45-16:00 휴식
16:00-17:00 문화외교 관련 정책 및 사업안
17:00-17:40 관련 기관 간 협조방안(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 외)
17:40-18:00 종합 토론

4. 문의처
신승빈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간사) 961-9211, 016-9347-0225, joyluck25@naver.com




목록 글쓰기 수정 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1   Obamerica의 도전과 시련 장동만 2008.12.03. 694
260   대구 20-30대를 위하여 방지기 2008.12.02. 880
259   강기희 작가돕기 자선콘서트에 초대합니다. 이승철 2008.12.01. 981
258   천백이십육년가튼날! 청량한앙개여름새벽! 노동창녀! 노동삼계급… 장후양요 2008.11.26. 866
257   비정규노동자권리선언에 모두 함께합시다!!! 권리선언 2008.11.24. 739
256   동아시아 문화진흥기관 교류협력회의에 초대합니다. 인천문화재단 2008.11.19. 1078
255   [공모전]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 공모 씽굿 2008.11.19. 1137
254   이번 한양여대에서 열렸던 전국 청소년 백일장에 대한 문의입니… 곽진솔 2008.11.17. 1371
253   2008 전국청소년시낭송 축제 기념 콘서트 놀러오세요!! 사이버문학광 2008.11.13. 804
252   ‘내 사랑 강남’ 에세이(수필) 콘테스트 씽굿 2008.11.10. 764
251   신고합니다. 최기종 최기종 2008.11.09. 1663
  문화외교포럼 행사 알립니다 박신의 2008.11.09. 889
249   황석영, 고은, 그리고 김지하 밑바닥 2008.11.09. 1508
248   [심포지엄]한국추리문학 100년의 도전 (재)인천문화 2008.11.06. 906
247   영화인 송년회 및 스크린쿼터 기금마련 일일호프 스크린쿼터 2008.11.06. 838



[이전 10개]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149 / 150 / [다음 10개]

 

후원 우리은행 1005-802-113278 (사)한국작가회의

(03959) 서울 마포구 망원로3길 48, 2층 (사)한국작가회의 _ 전화 02-313-1486~7 / 전송 02-2676-1488
이메일 hanjak1118@hanmail.net(사무처)